테라리움이 식물을 키우는 나만의 정원이라면 비바리움(Vivarium)의 의미는 더 광범위하다. 관찰이나 연구를 목적으로 동물과 식물을 가두어 주로 실내에서 사육하는 공간을 일컫는다는 점에서 식물만 기르는 테라리움과는 약간 다르다. 대부분, 특정한 생물이 살아가는 환경 조건을 작은 규모로 만들어 작은 생태계처럼 보이게 하는데, 흔히 테라리움에 파충류를 키우는 형태의 사육장을 비바리움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비바리움을 만드는 방법
비바리움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구 환경을 모방하여 동물이나 식물이 필요한 크기, 위치, 온도, 습도, 조명 등을 고려하여 제작한다. 이때 크기는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다르며, 작은 탁자 위 '보틀 가든(Bottle garden)'부터 시작해서 큰 것은 운동장 크기만 한 '바이오스피어(Biosphere)'까지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종류 1
동물을 위한 동물 비바리움은 주로 애완동물, 연구용 동물 등을 관리하거나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종류에 따라 수컷과 암컷의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고, 먹이 및 숨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등 동물의 특성에 맞게 설계되는데 쾌적한 환경을 위하여 적절한 청소와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식물 비바리움은 주로 자연에 가까운 환경을 조성하여 식물이 최적의 성장 조건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돕게 설계된다. 주로 식물의 성장과 발전을 관찰하거나 연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류 2
수위(水位), 육지, 식물 유무, 동물 종류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아쿠아리움(Aquarium)
육지는 아예 없고 해수어나 민물고기를 키우기 위한 수조를 말한다. 수초는 때에 따라 넣을 때도, 아닐 때도 있다.
팔루다리움(Paludarium)
육지와 물이 다 있는 형태의 사육장으로 습지 생태계를 구현하기 위해 제작하는 비바리움이다. 주로 양서류를 사육하기 위해 제작되지만, 물의 양에 따라 소형 물고기, 생이 새우, 민물 게 등을 키울 수도 있다. 육지와 물을 함께 관리해야 하므로 제작부터 관리까지 난이도가 가장 높다.
리파리움(Riparium)
연못, 호수, 강가 등 수변 생태계의 재현에 중점을 둔 비바리움이다. 팔루다리움과는 달리 육지를 따로 만들지 않고 식물의 뿌리는 물속에, 줄기는 물 위에 나오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특성을 가진 식물을 잘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토분이나 거치대를 이용하여 수면에 맞춰 식물을 심는다.
포미카리움(Formicarium)
개미 사육장을 뜻한다. 주로 개미의 집과 행동을 연구하기 위해 설계한 비바리움이다.
인섹타리움(Insectarium)
곤충 등의 작은 무척추동물을 위한 비바리움을 말한다.
헤르페타리움(Herpetarium)
파충류와 양서류의 다양한 종을 위한 전시, 사육장을 말한다. 규모는 동물원 등에서 사용되기에 가정용 비바리움보다 훨씬 거대하다.
에어비어리(Aviary)
조류를 키우기 위한 새장을 의미한다. 규모가 거대하고 비행 종을 넣어둘 용도로 제작된다.
관리 방법
- 사용 목적 및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안정적인 환경을 위해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며, 필요한 조명을 제공한다.
- 관찰이 쉬운 구조로 설계하고 동물이 먹을 수 있는 식물을 내부에 심는다.
- 주기적 청소 및 소독 시행으로 청결한 유지보수 등을 잘 제공해야 한다.
- 동물 비바리움은 동물의 행동 및 생태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설계되므로 안전성과 동물 복지에 대한 고려는 필수다.
- 아쿠아리움의 경우 해수어랑 또는 담수 어항이 있으며 열대어, 토종어류인가에 따라 수온도 다르게 해야 함을 주의한다.
팔루다리움의 환경 관리
조명
사육 중인 동물 및 식재 중인 식물 종의 요구 사항에 맞는 조명이 필요하다. 예컨대 숲속에서 야행성으로 사는 크레스티드 게코 등의 파충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파충류는 변온동물인지라 태양열에 의해 몸을 덥혀야 하므로 비바리움에 히트 램프를 배치해야 한다. 또한 특정 주행성 동물은 비타민 D와 칼슘을 합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UV 공급원 램프가 필요하다.
온도
자연 서식지에서 발견되는 것 이외의 다른 조건에 적응할 수 없는 종의 경우, 온도가 매우 중요한 매개 변수가 될 수 있다. 사육장의 바닥 또는 측면에 열을 제공하는 히트 램프 또는 적외선램프, 가열판, 열 매트를 갖출 필요가 있다. 야간에는 온도 감소가 필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습도
많은 식물과 동물은 수분 변화에 대한 내성이 매우 제한적이기에 습도를 사육자가 직접 맞춰줘야 한다. 안개 생성기 또는 자동분무기를 배치해주거나 분무를 직접 해줘야 할 때도 있다.
환기 및 개구부
환기는 공기 순환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곰팡이의 성장과 해로운 박테리아의 발생 및 확산을 예방하는 데에도 중요하다. 이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서식하던 개체일수록 특히 중요하다.
우리는 비바리움을 통해 동물과 교감하고 정서적인 기쁨도 맛볼 수 있다. 더불어 비바리움은 식물이나 동물에게도 생태계 역할을 제공하는 중요한 매개체이기도 하다. 인간과 동물, 식물이 모두 살고 행복할 수 있기 위해 비바리움을 설치하고 관리할 때는 식물과 동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계획해야 함은 두말하면 잔소리일 것이다.